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DHCP NAT 포트포워딩
    Network 2024. 5. 14. 15:36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서버에서는 자신에게 연결하는 컴퓨터들에게 IP주소를 빌려준다.

    DHCP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각 장치에 수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대신, 자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여 네트워크를 관리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주요 기능은 IP 주소 변환뿐만 아니라 포트 변환, ICMP 패킷 필터링 등도 포함

    포트 포워딩 (Port Forwarding)

    포트 포워딩은 네트워크의 특정 포트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네트워크의 다른 지점으로 전달

    특정 포트로 들어오는 외부 트래픽을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IP 주소와 포트로 전달합니다.

    -> 공인IP의 포트번호를 그냥 공인IP에 속한 네트워크 대역의 내부IP의 특정포트처럼 사용

    • 예를 들어, 내 PC가 웹 서버를 호스트하고 있고 외부에서 이 웹 서버에 접속하려면 80번 포트로 접속해야 한다면,

    공유기는 외부로 들어오는 80번 포트 트래픽을 내 PC의 사설 IP 주소와 80번 포트로 전달.

    • 이를 통해 외부에서 내 PC의 웹 서버에 접속가능함.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