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자료구조

리스트(List) > 그 외 기능

Sh-YE 2024. 5. 23. 13:24

1. 리스트를 곱셈 연산하면 아이템이 반복된다.

students = ['홍길동', '박찬호', '이용규']
print(f'students : {students}')
print(f'students : {students * 3}')

>>>
students : ['홍길동', '박찬호', '이용규']
students : ['홍길동', '박찬호', '이용규', '홍길동', '박찬호', '이용규', '홍길동', '박찬호', '이용규']

 

2. 아이템 위치 찾기

 index(item)함수를 사용하여, item의 인덱스를 알아낼 수 있다.

 

1) 같은이름을 가진 아이템이 여러개일때는 , 첫번째 값만 출력됨.

students = ['홍길동', '강호동','박찬호', '이용규', '박승철','강호동', '김지은']
print(f'students : {students}')
serachIdx = students.index('강호동')
print(f'students : {serachIdx}')

>>>
students :['홍길동', '강호동', '박찬호', '이용규', '박승철', '강호동', '김지은']
students : 1

 

2) index범위지정

students = ['홍길동', '강호동','박찬호', '이용규', '박승철','강호동', '김지은']
print(f'students : {students}')
serachIdx = students.index('강호동',2,6)
print(f'students : {serachIdx}')

>>>
students : ['홍길동', '강호동', '박찬호', '이용규', '박승철', '강호동', '김지은']
students : 5

 

3. 특정 아이템의 개수 알아내기

count() 함수를 이용하면, 특정 아이템의 개수를 알아낼 수 있다.

students = ['홍길동', '강호동','박찬호', '이용규', '박승철','강호동', '김지은']
print(f'students : {students}')
searchCnt = students.count('강호동')
print(f'students : {searchCnt}')


>>>
students : ['홍길동', '강호동', '박찬호', '이용규', '박승철', '강호동', '김지은']
students : 2